하지만 직접 해보면 어렵지 않아요. 기초 셰이더는 기껏해야 0~1 정도만 사용하고, 사칙연산 정도면 충분하거든요! 물론 고급 기술이 되면 어려워지지만 그건 알게 뭐야
흠흠.. 자 그럼 셰이더 그래프로 연산을 해 보겠습니다.
셰이더 그래프 준비하기
이번에는 프로퍼티스 작업은 필요없으니까요. Black Board와 Graph Inspector 는 꺼주고 시작해 보겠습니다. 너넨 잠깐 들어가 있어.
Vertex 와 Fragment는 중요하니까 화면을 좀 옮겨서 보기 편하게 만들어 보지요. 직접 드래그로 옮겨도 되지만, 마우스 가운데 버튼을 누르고 화면을 움직여도 됩니다. 유니티와 같지요. 휠을 굴리면 줌 인 아웃 된다는 것 정도는 상식적이니까 굳이 설명하지 않을께요 지금 했잖아
자 그럼 이런 화면으로 만들어 보세요. 물론 이 셰이더는 메터리얼에 적용이 되고, 메터리얼은 저 오브젝트에 적용되어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뭐 그건 아셔야죠? (모르시면 앞 부분을 다시 보고 오세요)
여기서 중요한건 Fragment 부분의 Base Color 부분이예요. 이 부분의 색을 바꾸고 Save Asset 을 누르면, 색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Base Color라는 부분이 오브젝트와 연결되어 있는거죠!
이제 기본 조작은 어떻게 하는지 감 잡았으니, 노드 조작을 조금 더 해 봅시다.
눈치채셨는지 모르겠지만, 칼라 피커는 0~255 단위와 0~1 단위, HSV 단위로 바꿔서 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지금 우리한테는 0~1 단위가 잘 어울리겠죠
노드를 꺼내서 연결하고 끊기
- 노드를 만드는 법 :스페이스바를 누르거나, 빈 곳에서 오른클릭해서 Create Node를 선택합니다.
- 칼라 노드를 꺼내는 법 : Input / Basic / Color 노드를 선택합니다. 혹은 Create Node 창에서 바로 Color를 직접 검색합니다.
- 노드를 연결하는 법 : 노드의 Out 을 잡고 끌어서 Fragment의 Base Color에 연결합니다.
- 노드 연결을 끊는 법 : 연결된 노드의 '선' 을 직접 선택하고 Del 키로 지워 버립니다.
Out은 (4) 라고 씌여있고 BaseColor는 (3) 이라고 씌여 있죠? 게다가 은근슬쩍 분홍색에서 노랑색으로 바뀌고 있어...
예에 이거 진짜 완벽하게 얼렁뚱땅인 드립인데요 . 첨보고 한참 웃었음. ㅋㅋㅋㅋ
저게 그러니까 .. 칼라 노드는 float4예요. 대충 이런 느낌. XYZW랑 RGBA는 같은 거거든요. 그냥 부르는 이름차이지. float4 랑 Vector4 는 같은거고, XYZW 랑 RGBA 는 같은거..
근데 저건 RGBA 잖아요? 근데 알파 채널은 솔직히 칼라라고 볼 수 없잖아요? 그냥 알파지. 그래서 사실 모니터에 '색' 을 출력하려면 RGB만 필요한거거든요? 하나 필요 없잖아???
그러니까 이거란 말인데, float4를 float3에 억지로 밀어 넣으니까 자연스럽게 A 채널이 버려지면서 float3로 눈속임 되는 광경을 보고 계십니다 ㅋㅋㅋㅋㅋ 야 뭔데 스리슬쩍 4를 3으로 바꾸는건데???? ㅋㅋㅋ 야레야레 다 이런식이라니깐
그렇다고 A 가 어디 없어진건 아니고요. 꺼내쓰는 방법이 다 있습니다. 나중에 설명드릴께요 지금은 그냥 따 된 상태임.
노드 연산해 보기 : 덧셈
자 여기서 갑자기 급 질문. '회색과 회색을 더하면 무슨 색이게요?'
어서 얘기해요. 5,4,3,2,1
손 치워. 어딜 대답하기도 전에 스크롤 내리려고 해? 아야 거 함마 가져와라
여기서 ... 회색? 이라고 하시거나 멈칫 하셨던 분들은 아직 색을 숫자로 생각하실 준비가 안 되신 분들입니다.
2. 노드를 Ctrl C + V 로 복사하고, 덧셈을 위해 Add 노드를 꺼냅니다. 덧셈은 Add니까요
3. 회색 두 개를 덧셈에 연결해 줍니다. 회색 + 회색을 만들려는거죠. 그리고 그걸 Fragment의 Base Color에 연결해 줍니다. 그러면 회색 더하기 회색이 흰색임을 알 수 있
....엥??????
아니 회색 더하기 회색이 왜 회색이 되는거죠??? 저건 흰색이 아니잖아????? 아아니이 좀 자세히 보면 '아주 약간 밝아진 회색' 같은게 되었잖아요???!!? 저 저ㅓㅓ저저게 뭐지????ㅁㅁ?니ㅏㅓ시ㅏㄴ아ㅓ사ㅣㅣㅇㄴ???.?
자 지, 진정하시고 저건 흰색이어야 원래 맞아요.
근데... 칼라 노드가
감마 (Gamma)
로 들어와서 그러는 거예요. 뭔소리야
참 이 부분은 쉽게 설명하기 (게다가 짧게) 설명하기 힘든 부분인데요. 궁금하신 분은 제가 만든 동영상을 보고 오시는게 좋겠어요 이론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 3개 영상은 꼭 보시는게 감마가 뭔지 이해하시기 좋고요 위에 저 덧셈 부분은 https://youtu.be/lUvsEfqOkUo?t=606 부분에 설명이 되어 있으니 , 아래 영상을 다 보시고 마지막 부분에서 저 부분을 좀 더 자세히 보시면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