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안쪽에 빛이 좀 새는것 같지만 뭐 잘 된 것 같은데 뭐가 시작이라고 그러냐...? 하신다면...
뭐 지금 된 건 맞습니다. 맞아요
근데 지금 뭐가 되었는지는 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지금 적용된 상태는 리얼타임 GI 가 캐쉬에 저장된 상태
입니다.
뭐야 그거 무서워...
일단 캐쉬에 저장된 라이트 데이터를 로컬로 빼보죠
일단 캐쉬에 저장되었단 얘기는, 이 프로젝트상에서는 저장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그거 뭐 별 거 아니예요. 프로젝트를 저장하고 Auto Generate를 꺼주기만 하면 라이트맵이 캐쉬가 아니라 프로젝트에 저장되게 됩니다. 1
일단 프로젝트를 저장하세요 Ctrl + S 면 충분.
저는 Test란 이름으로 저장했습니다.
그리고 라이팅의 셋팅 창을 여세요
맨 아래쪽의 Auto Generate를 꺼줍니다.
이제 수동으로 저기 제네레이트 라이팅 버튼을 눌러줘야 작동해요
가끔씩 눌러줘야 하는 귀찮음은 있지만 자동으로 베이킹되면서 프로젝트를 느려지게 하는 현상은 없어져서
저는 거의 모든 경우 저걸 꺼 놓고 시작합니다.
하여간 그렇게 하고 Generate Lighting을 누르면...
씬 이름과 같은 폴더가 생기고, 드디어 라이트맵 데이터가 로컬에 저장되게 됩니다.
LightingData라고 되어 있네요
참고로 라이트 캐쉬 저장데이터는
아래 프리퍼런스를 열면
GI 캐쉬 항목에서 용량을 볼 수 있습니다.
최고로 10기가를 차지하게 해 놨고, 지금 그동안 쌓였던 - 다른 프로젝트에서 작업한 것도 다 쌓입니다. 휴지통처럼 -
캐쉬가 9.88 기가로 C 드라이브를 잡아먹고 있네요.
이건 자동으로 비워지지 않기 때문에 저 Clean Cache를 눌러줘야 비워집니다.
하드가 부족하시거나 하신 분들은 날려주시는게 좋겠죠. 아님 위치를 바꿔 주시거나.
저도 간만에 지워야겠습니다.
- 물론 그래도 캐쉬는 계속 사용됩니다. 라이트맵을 구웠던 정보들은 계속 재사용되거든요 [본문으로]
'유니티 엔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신 버전 라이트맵 사용하기 4 ( Using Unity 2017 Lightmap - 4) (6) | 2017.12.13 |
---|---|
유니티 신 버전 라이트맵 사용하기 3 ( Using Unity 2017 Lightmap - 3) (0) | 2017.12.12 |
유니티 신 버전 라이트맵 사용하기 1 ( Using Unity 2017 Lightmap - 1) (0) | 2017.12.12 |
Unity lightmap troubleshooting 유니티 라이트맵 트러블 슈팅 (1) | 2017.12.06 |
Octane Renderer 첫인상 (0) | 2017.08.25 |
댓글
대마왕J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