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들어온 김에 설명하기..
감마 코렉션은 이미지를 밝게 저장하는 것이라고 이미 알고 계실겁니다. (뭔소리야 하시는 분은 감마가 어디감마 보시면 되고)
즉 밝아진 상태가 'sRGB' 상태입니다. 이 상태는 그리고 기계적으로는 정상인 상태입니다. 기계적으로는 리니어한 배열을 가지고 있는 상태죠.
밝아졌다는건 사람의 기준에서 밝아진 거지 기계 입장에서는.. 사람의 눈이랑은 아무 상관이 없어요... 그러이 HDD에 저장된게 컴퓨터 입장에서는 '그냥 아주 정상적으로 나열된' 데이터일 뿐입니다. 그렇잖아요. 사진을 찍어서 '저장' 을 한 상태니 컴퓨터 입장에서는 그냥 아주 평범하고 공정한 데이터 상태겠죠.
즉 저기서 HDD 상태라는 것은 '리니어' - 눈으로 보기엔 밝아졌지만 저게 정상인 데이터라고 저장된 상태 -
이고 저걸 컴퓨터의 개념으로 밝기를 나열해 보면 아래와 같을 겁니다.
이래서 리니어인거죠. 이미지는 밝지만.. 아 그건 잊으라고요... 그냥 저게 잘 저장된 상태예요.
저장된 상태에서는 일단 모든 조명 단계가 동일하죠? 그래서 리니어입니다.
그런데 어둡게 내린다? 감마로 저장해서 모니터에서 어둡게 내리게 되면, 우리 눈에는 정상적으로 보이게 되겠지만
'데이터적으로는' 어두운 부분의 변화가 촘촘하게 되는 거고 밝은 부분의 변화폭은 듬성듬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두운 부분의 변화에 민감한' 우리의 눈에는 '이게 더 색을 잘 표현한다' 라고 느끼게 되는거지요.
반응형
'Shader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Lit 셰이더 PBR 뒤져보기2 (0) | 2024.10.10 |
---|---|
유니티 Lit 셰이더 PBR 뒤져보기 (0) | 2024.10.02 |
ShaderGraph 에서 Additional Light 받아오기 (2) | 2024.08.31 |
픽셀셰이더에서 앞뒷면 가리기 (0) | 2024.08.13 |
Unity URP HLSL Shader Basic (0) | 2024.07.31 |
댓글